본문 바로가기

생물산업학부 식물자원환경전공

커뮤니티

공지사항

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 ] 추석연휴 학생안전대책

· 작성자 : plant      ·작성일 : 2016-09-07 00:00:00      ·조회수 : 442     

추석연휴 각종 안전사고로 인한 학생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사고 예방교육 취약시설 사전점검 등 예방활동 강화

 

1

 

추진개요

근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25조의2(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의 재난예방조치)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5(학교안전사고의 예방에 관한 책무)

기본방향

(안전교육) 위험 유형별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통한 안전의식 고취

(안전점검) 연휴 안전 취약시설 사전점검 및 화재대비 강화

(상황관리) 신속대응체계 구축 및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 강화

2

 

주요 안전대책

󰊱 학생교육 등을 통해 안전사고 사전 예방

추석 연휴기간 안전 취약분야에 대해 조회 등을 통해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SMS 발송, 학교 홈페이지, 가정통신문 등을 활용하여 학부모 홍보 및 협조요청

1) 야외활동 안전

추석 전후 시골귀향, 벌초가 많아짐에 따라 벌 쏘임 등 사고다발 가능성이 우려되므로 행동요령 안전수칙*에 따라 대처

*안전한 명절추석 홍보사이트 참조(동영상) : 국민안전처(mpss.go.kr) /재난안전정보/재난유형별정보/생활안전/산악사고(등산,산행)/02가을철 야외활동 좀더 안전하게!!

1)벌 쏘임 사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해동요령

벌집 가까이 접근하지 말고, 즉시 119나 전문가에게 제거 요청

야외활동 시 청량음료나 과일 등 단 음식은 가급적 멀리 둠

말벌퇴치용 스프레이나 물파스 등 휴대, 자극적 향수와 화장품 등 사용 가급적 자제하고 밝고 화사한 색상의 옷은 입지 않도록 함

2) 벌에 쏘였을 경우 응급조치 요령

족집게나 핀셋으로 빼낼 경우 독이 더 퍼질 수 있으니, 신용카드 등으로 면도하듯 밀어서 빼냄

알레르기 반응이 예상되면 신속히 119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하여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함

붓는 증상이 발생하면 반지 등의 악세사리를 제거하고, 손상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하여 안정을 취해야 함

추석 전후 산 속에 있는 성묘 등이 많아짐에 따라 뱀 물림 안전사고가 우려되므로 행동요령 안전수칙*에 따라 대처

*안전한 명절추석 홍보사이트 참조(동영상) : 국민안전처(mpss.go.kr) /재난안전정보/재난유형별정보/생활안전/산악사고(등산,산행)/02가을철 야외활동 좀더 안전하게!!

1)뱀 물림 사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요령

어른들과 함께 벌초시에는 두꺼운 등산화를 반드시 착용

잡초가 많아 길이 잘 보이지 않을 경우 지팡이나 긴 장대로 미리 헤쳐 안전유무를 확인

2) 뱀에 물렸을 경우 응급조치 요령

뱀에 물린 사람은 눕혀 안정시킨 뒤 움직이지 않게 함

물린 부위가 통증과 함께 부풀어 오르면, 물린 곳에서 510위쪽 (심장쪽)을 끈이나 고무줄, 손수건 등으로 묶어 독이 퍼지지 않게 하고,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

뱀에 물린 부위를 입으로 빨아내는 방법은 입에 상처가 있거나 충치가 있는 경우 매우 위험

독사는 머리가 삼각형이고 목이 가늘며, 물리면 두 개의 독니 자국이 나타남

뱀에 물린 후 가능한 경우, 휴대전화기 또는 카메라로 뱀을 찍어 의사에게 보이면 정확한 해독제를 신속히 조치

추석 전후 산 속에 있는 성묘 시 멧돼지 등 야생동물 출현으로 안전사고가 우려되므로 행동요령 안전수칙*에 따라 대처

*환경부(www.me.go.kr)/법령·정책/환경정책/자연보전/야생멧돼지대처요령 등 참조

<멧돼지 발견 시 행동요령 >

절대 정숙하고 등을 보이지 않음

소리치거나 움직이지 말고 쳐다보지 않음(멧돼지를 흥분시켜서는 안 됨)

나무나 바위, 우산을 펴고 뒤로 숨음(후각에 비해 시력이 상대적으로 약함)

가능한 바람을 등지고 있으며, 119 또는 해당 지자체로 즉시 신고

친척, 친구 등과의 민속놀이운동경기시 골절 등 사고가 우려되므로 준비운동 등 예방 강화

냇가, 호수, 강가 등에서 물고기 잡이 시 안전이 우려되므로 이동장소 알림, 주변 지형 숙지 및 여러 명이 동행 등 안전 강화

2) 감염병 안전

콜레라 예방수칙 준수 및 의심증상시 진료 철저

-최근 경남 거제지역 등에서 콜레라가 발생 한 것을 감안, 수인성감염병 예방수칙* 교육을 강화하고, 수양성 설사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진료 철저

1. 30초 이상 올바른 손씻기, 2. 물은 끓여먹기, 3. 음식 익혀먹기

가을철 유행 감염병 예방교육 강화

-연휴 기간 성묘, 나들이 등 야외 활동 증가로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감염이 우려되므로 가을철 유행 감염병에 대한 예방교육 강화

- 연휴 기간 중 감염병 위험국가로 해외여행을 다녀온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발열(37.5), 기침 등 호흡기감염병 의심증상 모니터링 철저

3) 식중독 안전

추석 연휴기간 음식섭취에 의한 식중독 예방

-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관련 수칙을 활용*하여 명절음식 섭취시 식중독 예방교육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 예방홍보 사이트(mfds.go.kr/fm)

장거리 이동시 차량 안에서 식중독 등 주의

- 차량 안에서 음식섭취 주의 등 식중독 예방 강화

4) 어린이 교통안전

교통안전 예방교육 강화

-고향 방문 등으로 차량이동이 많아짐에 따라 차량 탑승 시 안전수칙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안전 요령* 숙지

*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 버스 탑승 후 이동시 장난금지 등

자료활용 : 학교안전정보센터(www.schoolsafe.kr), 교통안전공단(kid.ts2020.kr

/main.jsp), 경찰청(kid.police.go.kr), 세이프키즈코리아(www.safekids.or.kr)

 

󰊲 학교 위험시설 및 실험실습실 관리

취약시설 사전 예방활동 및 안전순찰 강화

- 긴 연휴 동안 공사장, 축대옹벽 등 재해취약시설*의 관리소홀로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곳에 대해 사전점검위험시설 조치 등 강화

* 재난위험시설, 붕괴취약시설, 사고취약시설, 증축공사장

- 위험시설에 대한 사고대응반 구성 대응체계 유지

화재 대비 소방시설 등의 점검 강화

- 소화기 비치 상태, 소화전, 스프링쿨러 및 화재감지기 등 소방시설 점검 및 보수를 실시하여 화재 대비

실험실습실 사용 및 기자재 관리 감독 철저

-연휴기간 내 실험실습실 사용시 학생 단독 사용은 지양하며, 시설활용에 대한 사전보고 체계 마련

- 미사용 실험기자재는 전원 관리를 철저히 하여 화재위험에 대비하되, 불가피하게 수행되는 실험에 대해서는 사전 점검 등 강화

- 인화성 물질 등이 보관된 실험실습실 및 과학실 등에 대한 사전점검 및 조치를 통해 발화가능성 원천 제거

󰊳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

(대응체계) 추석연휴 기간 신속한 안전사고 비상대응체계 유지

- 학생 안전사고 및 시설물 피해 발생시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사고대응반 구성 등 안전책임관중심으로 상황관리 체계 운영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소방서경찰서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 강화

(보고체계) 안전사고 발생 시 비상근무 가동 및 신속한 보고체계 유지

- 교육부 안전사고 보고용 전용메일* 및 교육부 당직실**로 사고 발생 즉시 보고하는 등 24시간 보고 체계 가동

* moe119@moe.go.kr, ** 044-203-61186119(교육부 당직실)

· 첨부 #1 : 추석연휴 학생안전대책(발송용).hwp (32 KBytes)


21페이지 / 현재 16페이지

... 16 17 18 19 20 ...